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적용우선순위
- 테스트메소드
- 포트
- AuthenticationEntryPoint
- 테스트
- querydsl
- EC2
- 2 > /dev/null
- 외부키
- 추후정리
- docker명령어
- ㅔㄴ션
- MySQL
- 컨테이너실행
- 네이티브쿼리
- application.yml
- 서브쿼리
- Query
- 예약
- 커밋메세지수정
- appspec
- foreignkey
- 검색
- ubuntu
- 참조키
- subquery
- 메소드명
- appspec.yml
- 메세지수정
- WeNew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40)
제뉴어리의 모든것
Spring에서는 아래와 같이 Model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담고 @RequestParam으로 인해 데이터를 받을 수 있었으나 Boot에서는 설정이 꺼져있어서 에러가 난다. 그러나 설정을 바꿔주면 가능하다고 한다..(Model이 이제 데이터를 보낼수 없는데 @RequestParam 에서 받으려 하기 때문에 에러가 남) @GetMapping("/test") public String test(Model model){ log.info("test..."); model.addAttribute("value", "test"); return "redirect:/guestbook/test2"; } @GetMapping("/test2") //@ResponseBody public String test2(@RequestPar..
Spring 4.3부터 추가된 어노테이션 5개 @PostMapping @GetMapping @PutMapping @DeleteMapping @PatchMapping // 아래소스를 @RequestMapping(value ="/getBoardList", method = { RequestMethod.GET}) // 요렇게 줄일수 있다. @GetMapping("/getBoardList") 출처: https://nocount.tistory.com/143 [오류노트]
해결과제 카테고리내에서 해당 글의 바로 이전 글에서 썻다시피 hibernate에서 실행되는 쿼리의 파라미터를 보려고 MariaDB의 로그 관련 세팅을 하던중.. MariaD폴더 내에 있는 로그파일(~.log)의 내용이 너무 많아 삭제하고 파일자체를 삭제하고 내가 원하는 로그만 찍힌것을 확인하려고 하였으나 ~.log 파일을 삭제 한 후 로그가 찍히지 않는것이다.. 즉, ~.log 식의 새로운 로그파일이 생성이 되지 않았다... 이전에 Mysql을 사용하였을때는 Mysql이 가동 중이였을때도 ~.log 로그파일을 지우고 쿼리를 날려보면 새로운 ~.log 파일이 생기고 로그가 잘만 찍혔는데.. Maria DB는 그렇지 못하다... MariaDB를 재가동하니 ~.log 파일이 생기고 다시 로그가 찍히기 시작하였..
하단의 코드가 스프링부트에서 실행되었는데 조건 파라미터들이 ?로 출력되서 알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구글링중 application.properties 에 logging.level.org.hibernate.type.descriptor.sql=trace 를 추가하는 방법 그리고 추가적으로 몇가지 다 해보았지만 출력 되지않는다.. Hibernate: select guestbook0_.gno as gno1_0_, guestbook0_.mod_date as mod_date2_0_, guestbook0_.regdate as regdate3_0_, guestbook0_.content as content4_0_, guestbook0_.title as title5_0_, guestbook0_.writer as writer..

HTML을 하다보면 굉장히 많이 사용하는 태그가 바로 일것입니다. 바로 표를 만들어주는 HTML태그인데요. 표 뿐만 아니라 갤러리를 만들 수도 있고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만 웹사이트 전체의 레이아웃 공간을 배치할때도 사용할 수 있는 등 매우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여 굉장히 많이 사용되는 태그중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HTML의 테이블을 만드는 모든 기법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테이블 만들기 테이블을 만드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제일 바깥쪽에는 태그가 들어갑니다. 그리고 가장 위에는 라는 테이블 헤더 태그를 사용합니다. Default값은 굵은 글씨체에 가운데 정렬이 기본값입니다. 실질적으로 이 태그는 안쓰는 사람이 훨씬 많습니다. (대부분 태그를 활용하여 테이블 헤더를 만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