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WeNews
- 커밋메세지수정
- 참조키
- appspec.yml
- 서브쿼리
- 포트
- 적용우선순위
- 메소드명
- 2 > /dev/null
- appspec
- application.yml
- querydsl
- Query
- AuthenticationEntryPoint
- 추후정리
- 네이티브쿼리
- subquery
- 예약
- ㅔㄴ션
- docker명령어
- 외부키
- MySQL
- 테스트
- ubuntu
- 검색
- 메세지수정
- EC2
- foreignkey
- 테스트메소드
- 컨테이너실행
- Today
- Total
목록자료 구조 (2)
제뉴어리의 모든것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Vf8a/btrXJqmwbkB/wMkrImjucsKip0CVTkHXM1/img.png)
그래프란 - 노드와 노드간을 연결하는 간선으로 구성된 자료구조 - 즉, 연결되어 있는 객체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구조 - 그래프는 네트워크 모델이다 - 노드간에 2개 이상의 경로도 가능 하다 - 부모-자식 관계라는 개념이 없다 - 그래프는 순환 혹은 비순환 구조를 이룬다 - 그래프는 방향성이 있는 그래프와 방향성이 없는 그래프가 있다 (자료구조에서의)트리란 - 그래프와 같이 노드와 노드간을 연결하는 간선으로 구성된 자료구조 - 그래프의 한 종류이다 - 방향성이 있으며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다 (비순환 그래프) 여기서 말하는 방향성은 부모-> 자식으로 향하는 방향성을 말한다. 수학에서의 트리는 방향이 없는 그래프이다. - 부모-자식 관계라는 개념이 있으며 최상위에 루트 노드가 존재한다 그래프와 트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9FTB/btq1HaasTX6/FY8bRfXocESdni8Or9zIT1/img.png)
=> 힙이란 우선순위 큐를 위해 만들어진 자료구조. - 우선순위 큐란? 우선순위의 개념을 큐에 도입한 자료구조. 데이터들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고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가 먼저 나간다. - 우선순위 큐의 구현 배열, 연결리스트, 힙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이중 힙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 => 힙의 자세한 정의 - 완전 이진 트리의 일종으로 우선순위 큐를 위하여 만들어진 자료구조이다. - 여러 개의 값들 중에서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빠르게 찾아내도록 만들어진 자료구조이다. - 힙은 일종의 반정렬 상태를 유지한다. - 힙트리에서는 중복된 값을 허용한다. - Full Binary Tree로 구성 Funn Binary Tree란 마지막 레밸을 제외한 나머지 레밸들은 노드가 꽉 차있어야 한다. => 힙의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