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EC2
- appspec
- docker명령어
- ㅔㄴ션
- 참조키
- foreignkey
- 커밋메세지수정
- 적용우선순위
- 예약
- 메소드명
- subquery
- querydsl
- application.yml
- 테스트메소드
- 외부키
- 메세지수정
- AuthenticationEntryPoint
- 서브쿼리
- MySQL
- appspec.yml
- 검색
- 테스트
- ubuntu
- 컨테이너실행
- 2 > /dev/null
- 네이티브쿼리
- 추후정리
- WeNews
- 포트
- Query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40)
제뉴어리의 모든것

[Spring] 스프링 빈(Bean)의 개념과 생성 원리 빈(Bean) Spring IoC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빈(Bean)이라는 용어로 부른다. 우리가 new 연산자로 어떤 객체를 생성했을 때 그 객체는 빈이 아니다. ApplicationContext.getBean()으로 얻어질 수 있는 객체는 빈이다. 즉 Spring에서의 빈은 ApplicationContext가 알고있는 객체, 즉 ApplicationContext가 만들어서 그 안에 담고있는 객체를 의미한다. 어떻게 Spring IoC 컨테이너에 빈을 등록할까? 빈을 만드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다. ① Component Scanning ② 빈 설정파일에 직접 빈을 등록 Component Scan @Comp..
@ModelAttribute란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어노테이션으로 Controller로 넘어 온 파라미터를 바인딩 시킨 자바빈 클래스를 View영역에서 사용할 명칭을 정의 해줌.
- Region (지역) 지역 인프라를 의미. 서울, 도쿄 등등.. - avaliability zone (가용구역) 지역안에서 서로 백업이 가용한 지역 지역안에 가용구역 끼리는 전용선으로 연결 되있어 매우 빠름. Region과 Region이 다르면 인터넷으로 연결 되있음
=> 화면 전체(해당 라인 전체)를 쓰는 태그를 block level element 라고 함 => 자신의 크기만큼을 쓰는 태그 inline element => 크기 영역 바꾸기 display:inline display:block => display:none 화면에서 해당 태그 안 보이게 => padding:20px 영역 테두리와 내용 테두리와의 사이 여백 => margin:0 영역 테두리와 영역 테두리의 간격 (영역간의 간격) => grid =>can i use 사이트 태그 ,속성이 현재 얼마나 쓰이는지 확인 사이트
사용 방법 을 placeholder 안에 넣는다. 사용 예
on Function jQuery on 함수는 1.7버전부터 추가 되었다. 앞으로 이벤트를 바인드 하려면 on 함수를 쓰는것이 좋아보인다. 기존에 있던 bind, live, delegate등의 함수들이 없어질 예정이니 on을 쓰자. 물론 click 함수는 on 함수의 숏컷 모양으로 남아있다(기존대로 사용하자). on 함수의 종료는 off() 함수가 있다. 이 외에도 한번만 실행하고 삭제되는 one() 함수도 있으니 추후에 살펴보면 좋을 것 같다. on 함수는 기본적으로 다음처럼 작성한다. $(selector).on(eventType, function(){ // ...something });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인다. 예를 들어 아래처럼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한다면, $("pre").on("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