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외부키
- 참조키
- ㅔㄴ션
- ubuntu
- MySQL
- 서브쿼리
- 테스트
- querydsl
- 메소드명
- WeNews
- AuthenticationEntryPoint
- docker명령어
- application.yml
- 커밋메세지수정
- appspec.yml
- 검색
- 테스트메소드
- 적용우선순위
- subquery
- 예약
- 컨테이너실행
- 네이티브쿼리
- appspec
- 2 > /dev/null
- foreignkey
- 메세지수정
- 포트
- Query
- 추후정리
- EC2
- Today
- Total
제뉴어리의 모든것
[Spring]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차이 [출처 유용] 본문
Spring에서 컨트롤러를 지정해주기 위한 어노테이션은 @Controller와 @RestController가 있습니다. 전통적인 Spring MVC의 컨트롤러인 @Controller와 Restuful 웹서비스의 컨트롤러인 @RestController의 주요한 차이점은 HTTP Response Body가 생성되는 방식입니다. 이번에는 2가지 어노테이션의 차이와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Controller(Spring MVC Controller)
[ Controller - View ]
전통적인 Spring MVC의 컨트롤러인 @Controller는 주로 View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Spring MVC Container는 Client의 요청으로부터 View를 반환합니다.
-
Client는 URI 형식으로 웹 서비스에 요청을 보낸다.
-
Mapping되는 Handler와 그 Type을 찾는 DispatcherServlet이 요청을 인터셉트한다.
-
Controller가 요청을 처리한 후에 응답을 DispatcherServlet으로 반환하고, DispatcherServlet은 View를 사용자에게 반환한다.
[ Controller - Data ]
하지만 Spring MVC의 컨트롤러에서도 Data를 반환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Spring MVC의 컨트롤러에서는 데이터를 반환하기 위해 @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활용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Controller도 Json 형태로 데이터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
Client는 URI 형식으로 웹 서비스에 요청을 보낸다.
-
Mapping되는 Handler와 그 Type을 찾는 DispatcherServlet이 요청을 인터셉트한다.
-
@ResponseBody를 사용하여 Client에게 Json 형태로 데이터를 반환한다.
[ @Controller 예제 코드 ]
package com.mang.blog.application.user.controller;
import com.mang.blog.application.user.model.UserVO;
import com.mang.blog.application.user.service.Us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Bod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o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ethod;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import javax.annotation.Resource;
@Controller
@RequestMapping("/user")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Resource(name = "userService")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
@PostMapping(value = "/retrieveUserInfo")
public @ResponseBody UserVO retrieveUserInfo(@RequestBody UserVO userVO){
return userService.retrieveUserInfo(userVO);
}
@GetMapping(value = "/userInfoView")
public String userInfoView(Model model, @RequestParam(value = "userName", required = true) String userName){
UserVO userVO = userService.retrieveUserInfo(userName);
model.addAttribute("userInfo", userVO);
return "/user/userInfoView";
}
}
위 예제의 retrieveUserInfo는 UserVO라는 데이터를 반환하고자 하고 있고, UserVO를 json으로 반환하기 위해 @ResponseBody라는 어노테이션을 붙여주고 있다. userInfoView 함수에서는 View를 전달해주고 있기 때문에 String을 반환값으로 설정해주었다.
2. @RestController(Spring Restful Controller)
[ RestController ]
@RestController는 Spring MVC Controlle에 @ResponseBody가 추가된 것입니다. 당연하게도 RestController의 주용도는 Json 형태로 객체 데이터를 반환하는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VueJS +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Spring boot를 API 서버로 활용할 때 또는 Android 앱 개발을 하면서 데이터를 반환할 때 사용하였습니다.
- Client는 URI 형식으로 웹 서비스에 요청을 보낸다.
- Mapping되는 Handler와 그 Type을 찾는 DispatcherServlet이 요청을 인터셉트한다.
- RestController는 해당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반환한다.
[ @RestController 예제 코드 ]
package com.mang.blog.application.user.controller;
import com.mang.blog.application.user.model.UserVO;
import com.mang.blog.application.user.service.Us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ResponseEntit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Bod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ethod;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javax.annotation.Resource;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user")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Resource(name = "userService")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
@PostMapping(value = "/retrieveUserInfo1")
public UserVO retrieveUserInfo1(@RequestBody UserVO userVO){
return userService.retrieveUserInfo(userVO);
}
@PostMapping(value = "/retrieveUserInfo2")
public ResponseEntity<UserVO> retrieveUserInfo2(@RequestParam(value = "userName", required = true) String userName){
userVO = userService.retrieveUserInfo(userName);
if(userVO == null){
return new ResponseEntity<>(HttpStatus.NOT_FOUND);
}
return new ResponseEntity<>(userVO, HttpStatus.OK);
}
@PostMapping(value = "/retrieveUserInfo3")
public ResponseEntity<UserVO> retrieveUserInfo3(@RequestParam(value = "userName", required = true) String userName){
return Optional.ofNullable(userService.retrieveUserInfo(userName))
.map(userVO -> new ResponseEntity<>(userVO, HttpStatus.OK))
.orElse(new ResponseEntity<>(HttpStatus.NOT_FOUND));
}
}
retrieveUserInfo1의 메소드는 UserVO를 그대로 반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처리하는 것 보다 retrieveUserInfo2처럼 결과 데이터와 상태코드를 함께 제어하여 반환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만약 userService에서 반환하는 형태가 Optional이라면 retrieveUserInfo3 처럼 깔끔하게 처리를 해줄 수 있습니다.
(Optional에 대해서 잘 모른다면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출처 : [Spring] @Controller와 @RestController 차이 - MangKyu's Diary (tistory.com)
'Spring Boo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O, DTO, Entity Class 차이와 정의, 예시 (0) | 2021.01.15 |
---|---|
[spring] Spring boot 기본 경로와 기타 설정 [유용] (0) | 2021.01.15 |
Controller에서 Redirect할때 (0) | 2021.01.15 |
@DATA 어노테이션 (0) | 2021.01.14 |
@Query 사용시 Limit 지정 방법 (0) | 202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