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예약
- 컨테이너실행
- appspec
- ㅔㄴ션
- foreignkey
- ubuntu
- MySQL
- AuthenticationEntryPoint
- WeNews
- 외부키
- EC2
- 참조키
- appspec.yml
- 서브쿼리
- docker명령어
- 테스트메소드
- 테스트
- application.yml
- 메소드명
- 메세지수정
- 포트
- querydsl
- subquery
- 추후정리
- 네이티브쿼리
- Query
- 커밋메세지수정
- 검색
- 2 > /dev/null
- 적용우선순위
- Today
- Total
제뉴어리의 모든것
[Section2][자료구조/알고리즘] 자료구조 - Binary Search Tree 본문
이진 탐색 트리 (Binary Search Tree) 란?
앞선 게시물 "2022. 07.26 - [Section2] [자료구조/알고리즘] 자료구조 - Tree" 을 통해 이진트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럼 이번에 말하는 이진 탐색 트리는 도대체 뭐냐!
음, 사실 검색을 많이 해봐도 정식 문서를 보아도 명확하게 정의를 내려준곳은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아니 힌트를 준곳을 하나 발견하였다.
그 관점에서 바라보고선 스스로 정리하여 답을 내려보았다.
일단, 이진트리란
1. 각 데이터는 노드의 형태를 가진다 (자신의 데이터와 하위 노드를 가질 수 있으므로)
2. 각 노드는 최대 2개의 하위 노드를 가질 수 있다.
3. 각 노드의 방향성은 하위로 뻗어 나간다. (루트로부터 역방향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란 특징을 가지는 데이터 구조이다.
특징이 더 있을 수는 있지만, 대표적인(지금 기억나는것..)을 적어봤다.
즉, 그냥 데이터들이 존재하는 구조형태만을 말한것이다.
그러므로, 왼쪽 자식 노드는 루트 혹은 부모보다 작은 값이 와야하고,
오른쪽 자식 노드는 루트 혹은 부모보다 큰 값이 와야하는 그런 개념이 없다.
말하자면.... 배열의 그냥 구조형태는 무엇인가?
같은 타입의 데이터가 [0][1][2][3][4] 그냥 이런식으로 순차적으로 존재하는 데이터 구조가 아니던가??
이진트리도 그냥 아래와 같이 개념으로 데이터들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자체를 나타내는 명칭이고.
이진탐색트리란!!!!
이진트리에 데이터가 삽입될때 기준이 존재하는것이다.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1.왼쪽 자식 노드가 부모 노드보다 작습니다
2.오른쪽 자식 노드가 부모 노드보다 큽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트리 구조가 만들어지고 이것을 이진탐색트리라고 한다.
'코드스테이츠 > 정리 블로깅'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ction2][자료구조/알고리즘] 자료구조 - BFS / DFS (0) | 2022.07.28 |
---|---|
[Section2][자료구조/알고리즘] 자료구조 - Tree traversal (0) | 2022.07.27 |
[Section2][자료구조/알고리즘] 자료구조 - Graph (0) | 2022.07.27 |
[Section2][자료구조/알고리즘] 자료구조 - Tree (0) | 2022.07.26 |
[Section2][자료구조/알고리즘] 자료구조 - Stack, Queue (0) | 2022.07.25 |